반응형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LTV와 DTI를 이용해서 주택담보대출의 한도를 정하게 됩니다.
LTV에 대해서는 이 글을 보고 확인하면 됩니다.
[금융정보] LTV란? / LTV 계산 방법 / LTV 지역별 기준 / 지역별 소액 임차보증금
1. LTV란?- LTV(Loan to Value : 담보인정비율)는 대출금액과 담보 자산 가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로 주택 담보 대출(주담대)에서 사용되며, LTV 비율이 높을수록 대출 위험이 증가합니다.-
madebyan.tistory.com
1. DTI(Debtd to Income)란?
- 대출을 받는 사람(대출자)의 총 부채와 소득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소득에서 몇 %를 전체 빚의 원금과 이자(원리금)를 갚는데 사용되는지를 나타냄.
(예) DTI가 40%고 연소득이 5000만원일 경우,2000만원을 상환하는데 쓸수 있는 상한선.
- DTI는 대출자가 얼마나 많은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 DTI가 낮을수록 대출자가 상환 능력이 높다고 평가되고, 대출기관은 DTI 기준을 통해 대출자의 재정 건전성을 판단.
1) DTI 계산식.
DTI = (모든 주택담보대출 연간 총상환액 (원금 + 이자) + 기타 대출 이자 / 연소득 X 100 |
- 모든 주택담보대출은 2건 이상의 모든 주택담보대출 합계한 값을 의미합니다.
2. LTV와 DTI 차이.
LTV | DTI | |
대출 평가 초점 | 담보 자산에 대한 대출 비율에 초점. | 대출자의 소득 대비 부채 상환 능력에 초점. |
위험평가 | 담보 자산의 위험도 | 대출자의 재정적 안정성 |
용도 | 주로 주택 구매시 | 모든 형태의 대출 심사시 |
반응형
'돈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인플레이션이란? / 원인 / 인플레이션의 종류 / 영향 / 정부 정책 (0) | 2024.08.28 |
---|---|
[경제용어]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와 혼합금리에 대해 쉽게 알아보기. (0) | 2024.08.27 |
[경제용어] 기준금리란? / 한미 기준금리와 차이 / 저금리와 고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4.08.23 |
[88 부동산 대책] 서울 그린벨트 해제 및 요점 정리 내용. (0) | 2024.08.21 |
[경제용어] 디플레이션이란? / 디플레이션의 원인 / 영향. (0) | 2024.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