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TV란?
- LTV(Loan to Value : 담보인정비율)는 대출금액과 담보 자산 가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주로 주택 담보 대출(주담대)에서 사용되며, LTV 비율이 높을수록 대출 위험이 증가합니다.
- 실질적으로 은행에서 집값 대비 얼마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을지를 의미.
2. LTV의 계산방법.
1) LTV 계산식.
⊙ 담보인정비율(LTV) = (대출금액 + 선순위채권 + 임차보증금 등) / 담보가치 |
⊙ 담보인정비율(LTV) = 대출 가능한 금액 / 주택 담보물의 가치 X 100 |
⊙ 선순위채권 = 본 대출 이전 동일한 담보로 받은 대출 잔액 등 |
⊙ 임차보증금 등 = 전월세보증금, 소액보증금 최우선변제금액 등 |
2) 지역별 LTV 기준 (2023년 개정)
- 생애 최초 구입이라면 규제지역 여부와 상관없이 집값의 80%까지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 소재 지역이나 주택 가격, 소득과 관계없이 최대 6억 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음.)
- 2023년부터 규제지역에서도 집값의 최대 30%까지 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가격 | 구분 |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
조정대상 지역 | 기타지역 (비규제지역) |
9억 이하 | 서민실수요자(무주택) | 50% | 60% | 70% |
1주택(처분조건) | 40% | 50% | 70% | |
2주택 이상 | 30% | 30% | 60% | |
9억 초과 | 9억 이하분 | 40% | 50% | 9억 이하와 동일 |
9억 초과분 | 20% | 30% | ||
15억 초과 | - | 불가 | 9억 초과와 동일 |
(2023년 1월 5일부터 강남, 서초, 송파, 용산 등 서울 4개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됨.)
3) 지역별 소액임차보증금
지역 | 소액임차보증금 | |
서울특별시 | 5,000만원 | |
인천광역시 | 강화군, 옹진군 | 2,000만원 |
서구 대곡동/불로동/마전동/금곡동/오류동/왕길동/당하동/ 원당동/인천경제자유구역 및 남동 국가산업단지 |
2,300만원 | |
그 밖의 지역 | 4,300만원 | |
의정부시/구리시 /하남시/고양시/수원시/성남시/ 안양시/부천시/광명시/과천시/의왕시/군포시/용인시/화성시/세종시/김포시 |
4,300만원 | |
시흥시 | 반월특수지역 | 2,000만원 |
그밖의 지역 | 4,300만원 | |
남양주시 | 호평동/평내동/금곡동/일패동/이패동/삼패동/ 가운동/수석동/지금동 및 도농동 |
4,300만원 |
그밖의 지역 | 2,000만원 | |
광주/대구/대전/ 부산/울산광역시 |
군지역 | 2,000만원 |
그밖의 지역 | 2,300만원 | |
경기도 안산시, 광주시, 파주시, 이천시, 평택시 | 2,300만원 | |
그밖의 지역 | 2,000만원 |
3. LTV(Loan to Value)가 대출 한도에 미치는 영향.
1) 대출 한도 결정.
- LTV 비율이 낮을수록 대출 기관은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더 높게 평가하게 됩니다.
- 일반적으로 LTV가 70% 이하일 때, 더 높은 대출 한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위험 평가.
- LTV가 높을수록 대출 기관이 부담하는 위험이 커집니다.
- 예를 들어, LTV가 80% 이상일 경우, 대출 기관은 자산 가치 하락 시 손실을 입을 위험이 크기 때문에 대출 한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금리와 조건.
- LTV가 높으면 대출 금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대출 한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 대출 기관은 위험을 고려하여 더 보수적으로 대출을 결정합니다.
4) 담보 가치.
- LTV는 담보 자산의 가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 담보 가치가 높을수록 LTV가 낮아질 수 있어, 더 높은 대출 한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대출 종류.
- 주택 담보 대출, 자동차 대출 등 대출의 종류에 따라 LTV 기준이 다를 수 있으며, 이는 대출 한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돈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통장] Q&A / 청약통장에 관한 모든 질문과 답변. Q1 ~ Q11 (A1 ~ A11) 전환 일부해지 납입금연체 외국인 보이스피싱 (0) | 2024.09.02 |
---|---|
[청약통장 개편] 주택청약저축 혜택 대폭 강화 한방에 정리 / 청약저축 금리 인상 / 대출 금리 소폭 인상 / 청약통장 개편 내용 정리. (0) | 2024.09.01 |
[경제용어] 인플레이션이란? / 원인 / 인플레이션의 종류 / 영향 / 정부 정책 (0) | 2024.08.28 |
[경제용어]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와 혼합금리에 대해 쉽게 알아보기. (0) | 2024.08.27 |
[금융용어] DTI란? / DTI 계산 방법 / LTV와 DTI 차이 (0) | 2024.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