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표면금리란?
- 표면이자율.
- 채권을 발행할 때 발행자가 지급하기로 약정한 이자율로 연이율로 표기됩니다.
- 내가 국가 또는 회사에게 채권을 구매하여 돈을 빌려주고 그 증서를 보유하게되면 만기까지 받게 되는 이자율.
- 매년 고정적으로 받게 되는 이자.
- 채권은 발행한 국가 혹은 회사가 망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만기까지 보유하면 표시된 이자와 원금이 보장되는 비교적 안전한 투자 자산.
1) 표면금리가 높으면 무조건 좋을까?
- 그건 아닙니다.
- 3개월마다 받는 이자를 많이 받고 싶다면 표면금리가 높은 채권에 투자하면 된다. 하지만, 이자를 많으 받는 만큼 이자에 과세되는 세금 역시도 함께 늘어납니다.
- 표면금리가 낮은 채권이 무조건 불리한 것이 아닙니다. 시장금리가 낮은 시점에 낮은 표면금리로 발행된 채권이 만기 이전에 시장금리가 높아지면 이자수익은 적겠지만, 매매차익(자본차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세금측면에서도 표면금리가 높은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반응형
'돈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금리 변동 용어 - 스텝(Step), 컷(Cut) / 마이크로, 베이비, 빅, 자이언트, 울트라, 점보. (0) | 2024.07.14 |
---|---|
[금융용어] 채권이란? / 채권의 특징 / 채권의 종류 / 채권수익률 / 표면금리 (표면이자율) (0) | 2024.07.08 |
[금융정보] 리츠(REITs)란? / 리츠의 종류별 비교. (0) | 2024.02.27 |
[금융정보] DSR이란? / 스트레스 DSR 단계별 시행 시기(최신)와 적용 금리 / 주택담보대출시, 신용대출시 / 스트레스 DSR 시행 이유 (0) | 2024.02.26 |
모바일로 간편한 카카오뱅크 전월세보증금대출 한도& 금리&신청방법 (0) | 2018.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