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1) 정의
- "정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 (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경제용어] 인플레이션이란? / 원인 / 인플레이션의 종류 / 영향 / 정부 정책
1.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영문 뜻의 의미로 "통화량의 팽창"을 의미합니다.-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거나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하고 이는 통화가치가 하락하면서 구매력이 감
madebyan.tistory.com
- 경제 성장이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가운데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
- 일명 "저성장, 고물가 상태"를 의미.
- 경제가 침체되는 동안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
-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의 상징인 이용어는 1970년 재무장관이 된 영국보수당 정치인 이언 맥클레오드가 1965년 의회에서 있었던 연설에서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하였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1973년 ~ 1982년 일어났고, 이 때는 석유수출기구(OPEC)의 원유 공급 제한으로 유가가 치솟으면서 발생했습니다.(일명 "오일쇼크")
2) 특징.
- 스태그플레이션이 위험한 이유는 두가지 안좋은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한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만들고 시행하다보면 오히려 다른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려서 시장에 넘치는 돈을 줄이면 경기 침체를 더욱더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기 회복을 위해 시장에 돈을 늘리면 인플레이션을 더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① 경제 성장 둔화
- GDP 성장률이 낮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합니다.
② 높은 실업률
- 일자리가 줄어들고 실업률이 높아집니다.
③ 물가 상승
- 소비자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합니다.
3) 발생 원인
① 공급 충격
- 원자재 가격 상승 (요일쇼크처럼 석유 가격의 상승)과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가격 상승(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② 생산성 감소
- 기술 발전의 둔화나 노동력의 질 저하 등으로 생산성이 감소하면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고 실업률이 증가합니다.
③ 정책 실패
- 정부의 통화 정책이나 재정 정책이 부적절하게 시행되면, 경제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④ 과도한 규제
- 산업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기업의 운영 비용을 증가시켜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⑤ 기대 인플레이션
- 소비자와 기업이 미래의 인플레이션을 예상하고 가격을 미리 인상하면, 실제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2. 스태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의 차이.
항목 | 인플레이션 | 스태그플레이션 |
정의 | 일반적인 가격 수준의 지속적인 상승 | 경제 성장 둔화와 높은 인플레이션 동시 발생 |
원인 | 수요 증가, 생산 비용 상승 등 | 공급 충격, 생산성 감소, 정책 실패 등 |
경제성장 | 일반적으로 성장 | 정체 또는 감소 |
실업률 | 일반적으로 낮음 | 높음 |
통화 정책 | 금리 인하로 대응 가능 | 금리 인상과 인하의 이중적 접근 필요 |
예시 | 1970년대 초중반 | 1970년대 중반 ~ 후반 (일명 오일쇼크) |
영향 | 구매력 감소, 생활비 증가 | 경제 전반의 불아정성 증가 |
댓글